(특색사업1) 선진형 교과교실제 운영
1. 목적: 교과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학생 중심의 교육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공교육에 대한 만족도 제고.
2. 방침: 학생 진로 및 수요에 따른 다양한 선택과목을 편성하고 학생 수준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실현하고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을 마련.
3. 세부운영 계획
가. 교과교실제 운영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나. 역량 중심 창의・인성 수업 활동 전개를 위한 블록타임제 운영
다. 코티칭 전문강사를 활용한 수업 실시
라. 교과 학습공동체 중심 교실수업개선 추진
2. 방침: 학생 진로 및 수요에 따른 다양한 선택과목을 편성하고 학생 수준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실현하고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을 마련.
3. 세부운영 계획
가. 교과교실제 운영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나. 역량 중심 창의・인성 수업 활동 전개를 위한 블록타임제 운영
다. 코티칭 전문강사를 활용한 수업 실시
라. 교과 학습공동체 중심 교실수업개선 추진
(특색사업2) 융합심리문화콘텐츠 교과 특성화학교 운영
1. 목적 :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융・복합적 창의적 인재로서의 소양 함양
2. 방침 : 인간의 행동과 심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을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의 중심이 되는 문화콘텐츠 제작, 활용 능력 배양
3. 세부 운영 계획
가.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으로 과목 선택권 강화
나. 융합심리 문화콘텐츠 과정 운영을 토대로 학교 전반 인문학적 역량 강화 및 창의력 향상
다. 융·복합적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학생참여형 수업 연구 및 적용(수업 지도)
라. 교과특성화 교육과정 관련 동아리, 봉사, 진로, 체험활동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병행하여 특성화된 교육과정 제공(창의적 체험활동)
2. 방침 : 인간의 행동과 심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을 바탕으로, 정보화 시대의 중심이 되는 문화콘텐츠 제작, 활용 능력 배양
3. 세부 운영 계획
가.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 편성, 운영으로 과목 선택권 강화
나. 융합심리 문화콘텐츠 과정 운영을 토대로 학교 전반 인문학적 역량 강화 및 창의력 향상
다. 융·복합적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학생참여형 수업 연구 및 적용(수업 지도)
라. 교과특성화 교육과정 관련 동아리, 봉사, 진로, 체험활동 등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병행하여 특성화된 교육과정 제공(창의적 체험활동)
학년 | 교과목 | 이수단위 |
---|---|---|
1 | 심리학 | 2 |
2 | 미디어콘텐츠 일반 영상제작의 기초 사회문화 사회문제탐구 여행지리 |
4 4 4 4 4 |
3 | 언어와 매체 영어권문화 비교문화 문화콘텐츠 산업일반 |
6 6 7 7 |
(특색사업3) 고교 학점제 시범지구 운영
1. 목적 : 2022년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비, 고교학점제형 교육과정 운영을 시범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운영 모델을 구축하고자 함.
2. 방침 :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다양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인수 강좌, L.T.E.공동교육과정 등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이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
3. 세부 운영 계획
가. 본교를 비롯한 3개교가 시범지구 운영 학교에 참여(2021학년도 운영 2년차)
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공감대 형성 및 수업·평가 역량 강화
다. 교육청과 지자체, 지역사회 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 다양화 실현
라. 지역사회시설 및 인력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및 학생맞춤형 프로그램 적극 운영
마. 학교간 협력을 통한 다양한 과목 개설로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
바. 인근 학교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교육과정 운영 역량 강화
사. 시범지구 내 학교 간의 학사일정 조정 및 교육과정 교류⦁협력
2. 방침 :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다양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인수 강좌, L.T.E.공동교육과정 등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이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
3. 세부 운영 계획
가. 본교를 비롯한 3개교가 시범지구 운영 학교에 참여(2021학년도 운영 2년차)
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공감대 형성 및 수업·평가 역량 강화
다. 교육청과 지자체, 지역사회 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 다양화 실현
라. 지역사회시설 및 인력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및 학생맞춤형 프로그램 적극 운영
마. 학교간 협력을 통한 다양한 과목 개설로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
바. 인근 학교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교육과정 운영 역량 강화
사. 시범지구 내 학교 간의 학사일정 조정 및 교육과정 교류⦁협력
(특색사업4) 공간혁신 및 예체능 활성화 운영
1. 목적 : 학생 배움중심 미래형 학교 공간 구성을 위한 학교로 선정되어 사용자 참여 설계를 통한 공간 혁신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학생들의 자발적인 예술활동 참여를 통해 창의성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 향상
2. 방침
가. 공간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과 휴식 등 삶이 공존하는 균형 잡힌 학교로의 공간 구성
나. 전교생 가야금 연주
다. 다양한 교구를 활용한 체육, 무용, 미술 수업으로 예체능 역량 활성화
3. 세부운영계획
가. 공간혁신 프로젝트
- 학생 배움중심 미래형 학교 공간구성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실시
교육공동체 요구를 구현하기 위한 설계 디자인 아이디어 참여
나.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 성광 가야금합주단 운영
- 교육문화예술제 및 청소년 예술제 출연
다. 울산광역시교육청 예술활성화 합창반 선정
- 성광콘서트콰이어 운영
- 울산교육문화예술제, KBS 코러스울림, 울산합창 페스티벌 출연
다. 학교 스포츠클럽 운영 활성화 (배드민턴, 수족구 대회 출전)
라. 교내 체육 한마당 실시로 학생들의 꿈,끼 발휘
마. 신나는 주말체육(탁구) 운영⋅댄스동아리 결성 및 활동
2. 방침
가. 공간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과 휴식 등 삶이 공존하는 균형 잡힌 학교로의 공간 구성
나. 전교생 가야금 연주
다. 다양한 교구를 활용한 체육, 무용, 미술 수업으로 예체능 역량 활성화
3. 세부운영계획
가. 공간혁신 프로젝트
- 학생 배움중심 미래형 학교 공간구성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실시
교육공동체 요구를 구현하기 위한 설계 디자인 아이디어 참여
나.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 성광 가야금합주단 운영
- 교육문화예술제 및 청소년 예술제 출연
다. 울산광역시교육청 예술활성화 합창반 선정
- 성광콘서트콰이어 운영
- 울산교육문화예술제, KBS 코러스울림, 울산합창 페스티벌 출연
다. 학교 스포츠클럽 운영 활성화 (배드민턴, 수족구 대회 출전)
라. 교내 체육 한마당 실시로 학생들의 꿈,끼 발휘
마. 신나는 주말체육(탁구) 운영⋅댄스동아리 결성 및 활동
(특색사업5) 국제 화상수업을 통한 글로벌 리더 육성
1. 목적 : 호주 Rutheran Redeemer College와의 국제화상수업을 통해 인류 공통의 문제들을 함께 토의함으로 타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향상과 다양한 이슈들을 분석, 정리 후 토론, 발표함으로 창의력, 융합적 사고력,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
2. 방침:
가. 참가대상: 1,2학년 중 희망대상 학생, 인터뷰 통해 선발.
나. 수업방식: ZOOM을 통한 화상수업, 월 2회 실시, 시간: 오전 7시 50분~8시 35분(45분간),
주제: Geography, K-pop, foods, celebration and holidays, 연말 상호 선물 교환, 학교방문.
3. 세부 운영 계획
가.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체험행사(Immersion Day): 매년 9월 실시
하루 동안 각 체험부스를 돌며 원어민과 영어로 대화하며, 현지 영어를 체험하고 배우는 행사
나. 성광 영자신문 발간(The Sungkwang Times & English Journal)
2. 방침:
가. 참가대상: 1,2학년 중 희망대상 학생, 인터뷰 통해 선발.
나. 수업방식: ZOOM을 통한 화상수업, 월 2회 실시, 시간: 오전 7시 50분~8시 35분(45분간),
주제: Geography, K-pop, foods, celebration and holidays, 연말 상호 선물 교환, 학교방문.
3. 세부 운영 계획
가.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체험행사(Immersion Day): 매년 9월 실시
하루 동안 각 체험부스를 돌며 원어민과 영어로 대화하며, 현지 영어를 체험하고 배우는 행사
나. 성광 영자신문 발간(The Sungkwang Times & English Journal)
<호주 Redeemer Rutheran College와 화상 국제교류>
<호주 Redeemer Rutheran College와 화상 국제교류>
<성광 영자 신문>
<2020 리더십을 위한 집중 영어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