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선숙 | 11.05.17 조회:747
- 키워드로 푸는 초등학교 영어 공부 비법
- 초등학생은 학년에 따라 인지 능력이 다릅니다. 때문에 아이에게 맞는 학습 방법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수준에 맞지 않는 학습을 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아이의 수준보다 너무 높은 난이도의 영어 학습은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영어는 어렵고 부담스런 과목이라고 미리 생각하게 만듭니다. 반대로 너무 쉬운 수준의 학습은 긴장감이나 학습에 대한 기대감을 떨어뜨려 학습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초등학교 영어 학습,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단계별 키워드로 함께 알아봅니다. 초등 1, 2학년 키워드[날마다 재미있게, 자연스럽게] 초등 1, 2학년은 아직 인지능력이 낮을 때이므로, 아무리 영어를 잘 하는 아이라도 너무 어렵게 접근한다면 영어를 싫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초등 저학년은 영어를 재미있게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되, 흡수 능력이 낮은 만큼 가능한 날마다 1시간 정도 공부를 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초등 1학년 에서는 알파벳 숙지, 기본 단어 익히기, 파닉스 익히기, 간단한 단문 일 기 등을 배우는 것이 좋다. 나중에는 간단한 단어 쓰기, 기본적인 생활회화 듣고 이해하기 정도 만 배워도 된다. 이렇게 한 1년가량 영어를 재미있게 배우게 하면서 매주 한두 번씩은 단어 쪽지 시험을 보는 것 이 좋다. 쪽지 시험은 아이가 공부하는 책들 중에서 아이가 모르는 단어들을 적어서 엄마가 리스트를 만 든 후 그 뜻과 스펠링을 써보게 하라. 이 시기에는 단어 스펠링보다는 뜻과 발음을 제대로 읽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초등 2학년부터는 초등 3~4학년부터 배우게 될 본격적인 읽기 수업을 준비하는 스토리북 읽기와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회화가 중요하다. 이렇게 읽기과 생활회화를 동시에 하면 영어의 문장 구조, 즉 주어와 서술어에 대한 감각이 발전 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영어의 기초가 되는 발음 공부인 파닉스를 아주 강화해야 한다. 이때 고정된 발음이 나중에도 계속 가기 때문이다. 이때부터는 스펠링도 강조하기 시작해야 한 다. 또한 초등 2학년 중반부터는 기본적인 문법의 개념을 서서히 가르치되 주어와 서술어 구분, Be동 사와 일반동사, 비교법, 의문법, 현재와 과거 시제 정도만 익혀도 된다. 그것만 해도 생활회화나 스토리북을 이해하는 데는 충분하니 너무 고급 문법으로 아이를 괴롭히 지 말아라. 아이한테 영어 공부를 시키다 보면 계속 욕심이 나게 마련인데 그래도 이것을 꼭 기억하도록 하 자. 초등 3, 4학년 키워드[스토리북, 문법, 쓰기, 쪽지시험 등 체계적인 수업] 이 단계는 영어의 중급 단계로 지난 2년 간의 연습이 어느 정도 성과를 서두는 시기다. 파닉스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만큼 본격적인 스토리북 읽기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아직 저학년이므로 회화와 함께 30-40권의 스토리북을 읽으면서 단어 공부와 독해를 진행 하자. 그런 다음 다시 스토리북 듣기를 하면서 듣기 실력도 함께 키워나가는 핵심적인 시기로 잡 아야 한다. 이 단계의 문법은 시제에 맞춰진다. 교재를 통해 시제를 익히고, 독후감 쓰기 등의 문장 쓰기 연습도 서서히 시작하는 단계이다. 또한 단어 시험, 독해 시험, 문법 시험 등 다양한 쪽지 시험이 몸에 익고 생활화되는 시기로, 많은 아이들이 이 시기에 단어와 독해 실력이 엄청 늘게 된다. 초등 5,6학년 키워드 [지적인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긴 스토리북, 본격적인 문법과 단락 쓰기 및 과학, 역사, 사회 등의 주제별 수업] 영어를 주 5회 매일 2시간씩 4년 동안, 체계적인 커리큘럼에 따라 계속 공부한다면 그 성과는 아마 부모들이 상상하는 것 이상일 것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거의 누구나 할 것 없이 영어 실력이 굉장히 높아지는 만큼, 초등 고학년부터는 인지 능력에 맞는 고급 영어 교육이 가능하다. 단어와 스토리북 읽기, 회화, 듣기, 기본 문법과 쓰기 등의 영어 기초 실력이 다져진 상태이므 로 좀 더 긴 스토리북을 읽힐 수 있다. 더욱 체계적인 문법과 문장 쓰기 또한 가능하고, 내용도 초등 고학년의 인지 능력에 맞는 수준 높고 논리적인 것으로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 사회 등의 여러 장으로 구성된 긴 스토리북이나 자신의 적성과 관심 분야를 파악하는 지적 계발까지 이룰 수 있다. 커리큘럼도 저학년보다 훨씬 복잡하게 구성되니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어떤 아이들은 거의 귀국자 수준의 실력을 갖추고 있으므로, 커리큘럼이 상당히 지적인 수준의 내용이 아니면 흥미도가 떨어질 수 있다. 즉 단순히 영어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적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 공부에 대한 강한 동기를 마련해줄 수 있어야 한다. [출처] 초등 영어 학습, 이렇게 한다! - 하버드 박사에게 듣는 초등학생 영어 공부 방법|작성자 마이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