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방향
- ○ 전공과는 초․중등교육법 제56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4조에 의거하여, 전공과는 고등학교 과정을 졸업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취업 및 직업재활을 위한 직업훈련과정이다.
- ○ 전공과 교육은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에 첫발을 내딛음으로써 겪게 될 여러 가지 어려움과 장애를 극복하여 사회에서 건강하고 당당한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도록 준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학교의 교육과정과 학부모의 요구, 지역사회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전환교육계획을 작성한다.
- ○ 직업평가를 실시하여 학생의 직업적 잠재력을 분석하고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는 진로 및 직업교육을 실시한다.
- ○ 다양한 방법의 직업교육을 통하여 각자의 소질을 계발하고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며 기술 및 기능지도와 더불어 직업의식 및 태도 함양에 역점을 둔다.
- ○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여 사업체 개발 및 현장맞춤교육에 중점을 두어 전공과를 운영한다.
- ○ 전공과 학생들의 직업적응을 위한 현장실습은 교내실습과 교외현장실습으로 나누어 실시하며, 교내실습은 전문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고 교외현장실습은 전문교과와 관련하여 지역 사회적응 및 직장경험을 위한 사업체 연계훈련으로 실시한다.
- ○ 전공과 학생들이 중심이 된 전공과 작품전시회를 계획하고 실시한다.
- ○ 평가는 개인별 성취수준을 설정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학생의 목적 성취도를 확인하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중점 추진과제
- ○ 직업인으로서의 자질과 기능 향상
- ○ 진로직업체험활동을 통한 진로탐색의 체계화
- ○ 다양한 분야의 전공실습 및 선택실습 개발
- ○ 작품전시회를 통한 직업인으로서의 자신감 고취 및 직업준비기능 향상
과제 실천방향
- 직업인으로서의 자질과 기능 향상
-
❖ 취업졸업생 초청 간담회
❖ 자신의 직업흥미도 및 적성검사
❖ 직업과 생활 프로그램 운영
- 개인위생훈련, 생활기본동작훈련
- 직장예절훈련, 사회적응훈련, 대인관계소통훈련
- 여가생활훈련 - 진로 직업체험활동
-
❖ 장애인 직업교육 유관기관 방문 및 프로그램 참여
❖ 진로 관련 체험학습 확대 - 다양한 분야의 전공 및 선택 교과 실습
-
❖ 전공 교과 실습
- 목공DIY, 제과제빵, 천연염색, 비누
❖ 선택 교과 실습
- 생활공예 (비즈공예, 천공예, 인테리어 DIY 등), 바리스타, 응용공예 - 작품전시회 운영
-
❖ 전공과 작품전시
- 1년 동안 전공과 수업 시간에 학습하고 제작한 작품 전시
- 전공과 학생 중심이 되어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전시회를 준비하여 실시
- 다양한 작품이 출품될 수 있도록 전공과 교사의 실기 창의성과 전문성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