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아리학교 로고이미지

전공과 교육과정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가. 편제와 시간배당

학 년
구 분
공예과
1 2
보통교과 자립생활 5 5
직업교과 전문 교과 목공DIY 4 4
비누 2 2
천연염색 3 3
제과제빵 3 3
교양 교과 생활공예 9 9
응용공예 4 4
바리스타 실습 2 2
  • ① 교육과정 시간 배당은 기본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하되 학급의 편성 형태 및 특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② 수업 시간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계획하여 운영한다.
    ➂ 1단위 시간은 40분으로 한다. 다만 기후, 계절, 학생의 장애특성, 발달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등에 따라 각 영역별 수업 시간, 주당 수업 시간, 1시간 단위의 길이 등은 실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중점

  • 1) 전공과 교육과정은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 학생의 장애상태 및 능력과 적성 등을 고려하여 공예과를 운영한다.
  • 2) 교과는 생활적응을 위한 보통교과(이론 20%)와 직업훈련을 위한 직업교과(실습 80%)로 나누어 편성한다.
  • 3) 보통교과(자립생활)는 진로탐색, 직업준비, 직업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 여가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지도한다.
  • 4) 직업교과는 전문교과 목공DIY, 비누, 천연염색, 제과제빵으로 교양교과는 생활공예, 응용공예, 바리스타 실습으로 나누어 운영한다.
  • 5) 학년별 직업교과 과목은 학생의 교육적 요구 및 능력, 지역사회 내 산업체의 유사직종과 관련된 직무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운영한다.
  • 6) 각 교과별 학습목표를 모든 학생들이 성취하도록 지도하고, 능력에 알맞은 학습의 기회와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며 학습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운영한다.
  • 7) 개별적인 학습활동과 더불어 소집단 공동 학습활동을 중시하여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많이 가지게 운영한다.
  • 8) 각 교과 활동에서는 학습의 개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직접적인 체험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 9) 다양한 방법의 직업교육을 통하여 각자의 소질을 계발하고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며, 직업의식과 태도 함양 및 기술 습득에 역점을 둔다.
  • 10) 취업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면서 지역사회의 사업체 현황 파악 및 사업체 연계 협조를 통해 계획하여 실시한다.
  • 11) 상담 및 기초 자료를 통하여 대상 학생의 능력과 적성을 파악하고 개별화 교육계획에 전환계획을 접목하여 진로 지도에 만전을 기한다.
  • 12) 교과는 실기 중심으로 이론 20%, 실습 80%로 편성 운영하여 학생들의 직업기능과 기술 습득, 적응능력 향상에 집중한다.
  • 13) 학생들의 능력과 특성, 학교의 상황에 따라 학년 단위나 학기 단위로 교육과정을 통합, 집중, 분산하여 운영할 수 있다.
  • 14) 정보화 사회 대비와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장애학생이 진출 가능한 직업영역을 선정하여 지도한다.
  • 15) 전공과에서는 학과의 특성에 맞는 직업 수행능력과 기술의 습득, 독립적인 생활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지도한다.
  • 16) 각 분야별 전문 교과 지도교사 확보와 연수의 기회를 마련하여 전문성을 향상하고,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유대와 협조를 얻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