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편제와 시간배당
-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1)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2)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으로 한다. 다만, 1, 2학년은 체험 활동 중심의 ‘안전한 생활’을 포함하여 편성・운영한다.
학년 구분 |
1 | 2 | 3 | 4 | 5 | 6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교 과 | 국 어 | 국어 448(7) 수학 256(4) 바른생활 128(2) 슬기로운생활 192(3) 즐거운생활 384(6) |
102(6) | 102(6) | 102(6) | 102(6) | 119(7) | 119(7) | 119(7) | 119(7) | ||
도 덕 | 17(1) | 17(1) | 17(1) | 17(1) | 17(1) | 17(1) | 17(1) | 17(1) | ||||
사 회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
수 학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
과 학 | 51(3) | 51(3) | 51(3) | 51(3) | 68(4) | 68(4) | 68(4) | 68(4) | ||||
실 과 | · | · | · | · | 17(1) | 17(1) | 17(1) | 17(1) | ||||
체 육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
예 술 | 미 술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
음 악 | 34(2) | 34(2) | 34(2) | 34(2) | 34(2) | 17(1) | 34(2) | 17(1) | ||||
영어 | 34(2) | 34(2) | 34(2) | 34(2) | 34(2) | 51(3) | 34(2) | 51(3) | ||||
교과 합계 | 1408(22) | 884 (26) | 884(26) | 986(29) | 986(29) | |||||||
창의적 체험 활동 |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336(4) 안전한생활(64) |
204(3) | 204(3) | ||||||||
주 시수 | 26 | 29 | 32 | |||||||||
학년군별 총 수업시간 수 | 1,744 | 1,972 | 2,176 |
- ① 이 표에 제시된 시간 수는 34주를 기준으로 한 연간 최소 수업시간 수이며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정도, 학습내용의 성격 등과 학교 실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② 실과의 수업 시간은 5~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시수에만 포함된 것이다.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중점
- 1) 학교는 1학년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 교육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를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입학 초기 적응 프로그램 등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2)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학생의 기본생활습관, 기초학습능력,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한다.
3) 각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학습되도록 계획하고, 정확한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특히, 기초적 국어사용 능력과 수리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4) 학교의 특성, 학생ㆍ교사ㆍ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운영할 수 있다.
5) 학교의 여건과 교과(군)별 특성을 고려하여 학년, 학기별로 집중 이수를 통해 학기당 이수 교과 수를 감축하여 편성ㆍ운영할 수 있다.
6) 정보통신 활용교육, 보건교육, 한자교육 등은 관련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7) 전입 학생이 특정 교과목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 교육청과 학교에서는 ‘보충 학습 과정’ 등을 통해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8) 학년을 달리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복식 학급을 편성, 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육 내용의 학년별 순서를 조정하거나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9) 학교는 학생이 학년군별로 이수해야 할 학년별, 학기별 교과목을 편성하여 안내한다.
10) 예술(음악/미술)은 음악과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ㆍ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