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편제와 시간배당
- 1)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 2)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한다. 다만, 초등학교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한다.
- 3)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으로 한다. 다만, 1, 2학년은 체험 활동 중심의 ‘안전한 생활’을 포함하여 편성・운영한다.
학 년 구 분 |
1 | 2 | 3 | 4 | 5 | 6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교 과 |
국 어 | 119(7) | 119(7) | 119(7) | 119(7) | 102(6) | 102(6) | 102(6) | 102(6) | 102(6) | 102(6) | 102(6) | 102(6) | ||
수 학 | 60(4) | 60(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68(4) | |||
도 덕 | 바른 생활 |
33(2) | 33(2) | 34(2) | 34(2) | 17(1) | 17(1) | 17(1) | 17(1) | 17(1) | 17(1) | 17(1) | 17(1) | ||
사 회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
과 학 | 슬기로운 생활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68(4) | 68(4) | 68(4) | 68(4) | ||
실 과 | ․ | ․ | ․ | ․ | 17(1) | 17(1) | 17(1) | 17(1) | |||||||
체 육 | 즐거운 생활 |
99(6) | 99(6) | 102(6) | 102(6)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51(3) | ||
예 술 |
미 술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
음 악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34(2) | |||||||
영어 | ․ | ․ | ․ | ․ | 34(2) | 34(2) | 34(2) | 34(2) | 51(3) | 51(3) | 51(3) | 51(3) | |||
교과 합계 | 724(22) | 748(22) | 884 (26) | 884(26) | 986(29) | 986(29) | |||||||||
창의적 체험 활동 |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
68(4) 안전한 생활 (13) |
68(4) 안전한 생활 (13) |
68(4) 안전한 생활 (13) |
68(4) 안전한 생활 (13) |
204(3) | 204(3) | ||||||||
주 시수 | 26 | 29 | 32 | ||||||||||||
학년군별 총 수업시간 수 | 860 | 884 | 1,972 | 2,176 |
- ①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학교 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또한, 학생중심 수업을 강화하기 위해 블록 타임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때, 학교장은 원칙적으로 40분을 1차시 기준으로 합산한 시간이 학년군별 최소 수업 시간보다 줄어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②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2년간의 기준 수업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③ 학년군별 총 수업 시간 수는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실과의 수업 시간은 5∼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 시수에만 포함된 것이다.
⑤ 2023학년도 1학년의 경우 1-2학년군 교육과정 편성시기에 2015 교육과정과 2022 교육과정이 혼용되는 시기이므로, 교과 및 창의적체험활동의 시수를 일부 조정하여 편성된 것이다.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중점
- 1) 학교는 1학년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 교육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를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입학 초기 적응 프로그램 등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 2)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학생의 기본생활습관, 기초학습능력,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 3) 각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학습되도록 계획하고, 정확한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특히, 기초적 국어사용 능력과 수리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 4)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운영할 수 있다.
- 5) 학교의 여건과 교과(군)별 특성을 고려하여 학년, 학기별로 집중 이수를 통해 학기당 이수 교과 수를 감축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 6) 정보통신 활용교육, 보건교육, 한자교육 등은 관련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7) 전입 학생이 특정 교과목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 교육청과 학교에서는 ‘보충 학습 과정’ 등을 통해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8) 학년을 달리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복식 학급을 편성‧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육 내용의 학년별 순서를 조정하거나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 9) 학교는 학생이 학년군별로 이수해야 할 학년별, 학기별 교과목을 편성하여 안내한다.
- 10) 예술(음악/미술)은 음악과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편성‧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