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계획
Ⅰ. 운영 방향
- 운영방향
- 유아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는 양질의 방과후 과정 운영
Ⅱ. 방침
-
○ 유아의 심신의 안정과 건강하고 조화로운 발달 지원 보장
○ 유아의 놀이와 쉼을 보장하고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는 방과후 과정 운영
○ 유아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으로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
○ 1일 8시간 이상 교육을 받는 유아에 대한 방과후 과정 지원금 지원
- 유치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부모 동의를 거쳐 1일 1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총 이용시간 감축 가능(1일 7시간 이상)
Ⅲ. 세부 추진 계획
- 1. 방과후 과정 기본 운영방침
-
♣유아기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긍정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방과후 현장지원체제 강화○ (운영)
- 유치원 실정 및 부모의 퇴근시간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되, 학부모의 퇴근시간을 최대한 수용(수요자가 있을 시, 19시까지 운영)
- 학부모 요구와 유치원 실정 등을 고려하여 여름·겨울·학년말 방학 기간 동안 방과후 과정 방학을 운영하며 유치원운영위원회 심의 후 실시(여름: 8일, 겨울: 4일, 학년말: 10일)
※ 방과후 과정 방학 기간에도 돌봄이 꼭 필요한 유아의 경우 돌봄 운영
※ 구영유-14(2023. 1. 2.) “2023학년도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 수립을 위한 설문 결과
- 여름·겨울·학년말 방학 및 유치원 재량휴업일 등 이 기간 동안 간식과 급식은 학부모가 준비(차량 미운행)
- 평일 운영을 원칙으로 하며 토요일은 운영하지 않음
(단, 토요일 돌봄이 필요한 유아는 학부모 수익자 부담으로 운영함)
- 방과후 과정 특성화프로그램, 돌봄 운영에 대해 유치원운영위원회 심의 후 운영
○ (학급편성)연령 방과후 과정 학급 편성 3세 4세 5세 특수반 계 학급 수 2학급 3학급 2학급 2학급 9학급
○ (학급당 정원) 2023학년도 울산광역시교육청 학급당 정원 기준연령 3세 4세 5세 혼합연령 유아 수 16명 21명 24명 21명
○ (운영시간)
- 유치원 실정 및 부모의 퇴근시간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하되, 학부모의 퇴근시간을 최대한 수용(수요자가 있을 시, 19시까지 운영)
- 보호자의 동의하에 유아의 안전을 확보하고, 총 이용 시간 8시간 이상 중 1시간 이내에서 방과후 과정 이용 시간 조정 가능
○ (방과후 과정 지원금)
- 2023학년도 유아학비 방과후 과정 지원금을 매월 1인 50,000원씩 배부받아 간식비, 교재교구 구입, 특성화교육활동비 등에 활용
○ (프로그램)
- 휴식‧건강‧안전‧영양 및 바깥놀이 등을 포함한 기본적인 돌봄 위주의 방과후 활동 권장
- 1일 2시간 이상의 충분한 놀이시간 운영으로 유아의 놀 권리 보장
- 유아가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유아·놀이중심의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
- 도덕적 가치의 내면화를 위한 인성교육 강화
- 인터넷 사용, 아동학대 예방, 성폭력 예방, 장애인식개선교육, 다문화교육, 안전교육 등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내용 운영
- 특성화 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 (특성화 프로그램)
- 특성화교육활동 운영에 대한 학부모 수요조사 실시, 특성화 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시 유치원운영위원회 심의·자문을 거쳐 실시
- 유아당 1일 1개 1시간 이내 운영
- 특성화프로그램 미참여 유아 대상 돌봄 운영 계획 수립
(특성화프로그램 및 추가 돌봄 계획, 운영시간, 운영장소, 참여대상, 인력배치, 소요비용, 안전관리 등 세부적인 사항 포함)
- 방과후 과정 미참여 유아 또는 방과후 과정비를 지원받지 못하는 유아 발생 시 그 경비는 수익자부담경비로 징수하여 운영
- 참고: 2023학년도 특성화 운영 계획(안)
○ (방과후 과정 전담 인력)
- 교육공무직 배치(1일 8시간·5시간 근무자 혼재)
- 자격: 보육교사 2급 이상 자격증 소지자, 유치원 교사 자격증 소지자
- 학기 중, 방학 중 복무
- 유아 출결관리, 생활지도, 안전지도, 귀가지도, 방과후 과정반 교실 관리, 연간·월간 운영계획 및 운영일지 작성, 특성화 활동 시 유아 관리, 급·간식 준비 및 제공, 사후처리, 방과후 과정 관련 업무, 기타 원장이 지정하는 업무 등
- 방과후 과정 참여 유아의 최종 귀가시간을 기준으로 근무시간 협의·조정하여 결정
- 돌봄이 진행되지 않는 시간에는 방과후 과정 관련 행정업무 및 그 외 원장이 지정하는 업무 등 처리
- 복무 철저: 교육공무직 관리지침 및 채용 및 관리 조례 시행규칙
○ (안전 및 건강)
- 가정과 같은 편안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고 실외놀이 시설 확보
- 휴식을 위한 공간을 갖추고 건강하고 균형 잡힌 급·간식 제공
- 매일 출결 상황을 파악하고, 학부모 소통체계 활성화로 결석 또는 건강 이상 등 특이사항 발견 시 학부모에게 즉시 안내(운영일지에 등·하원시간, 출결상황 철저하게 기록)
- 학부모 동행 귀가를 원칙으로 하되, 학부모 미동반 시를 대비하여 [대리자 사전 지정제] 등을 실시
○ (급.간식)
- 식중독 예방 등을 위해 유치원 급·간식 관리 철저(보존식 관리)
- 안전한 간식 제공을 위해 자체조리는 가급적 지양하고 식품위생법령상 적합한 업체의 완제품 등 균형 있는 간식을 제공(학기 중과 방학 중 동일)
- 방학 중 급식도 학기 중과 동일하게 자체 급식으로 실시(자율등원기간 제외)
○ (유치원 돌봄 운영)
- 저소득층, 맞벌이 등 일하는 가정 부모의 출.퇴근 시간 등을 고려하여 학부모 요구를 반영하여 연중 아침부터 제공되는 추가 돌봄 활동 운영
- 추가 돌봄이 꼭 필요한 유아의 우선 참여를 원칙으로, 지역 여건이나 유치원 실정을 고려하여 참여 대상 확대
- 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여 아침돌봄 운영 시간은 07:50 ~ 08:40으로 운영
- 돌봄 운영학급은 1층 초롱반으로 배치
- 동화 듣기, 자유놀이 등 유아의 건강과 정서적 안정을 줄 수 있는 돌봄 프로그램 운영
- 시간당 12,000원 지원되는 돌봄 운영비는 인건비 및 운영비로 사용(운영위원회 심의·자문) - 2. 2022학년도 유치원방과후과정 학사일정
-
학기 월 일수 수업
일수휴일일수 국경일 및 행사 토·일휴일 공휴일 1
학
기3 31 21 8 2 삼일절(1) 입학식(3) 대통령선거일(9) 4 30 21 9 0 5 31 21 9 1 개원기념일(1) 어린이날(5) 재량휴업(6) 석가탄신일(89) 6 30 20 8 2 지방선거일(1) 현충일(6) 7 31 21 10 0 방과후 자율운영기간(7.25.~7.29.) 8 31 22 8 1 방과후 자율운영기간(8.1.~8.5.) 광복절(15) 텃밭 무 씨앗 심기(23) 소계 184 126 52 6 학
기월 일수 수업 일수 휴일일수 국경일 및 행사 토·일휴일 공휴일 2
학
기9 30 20 8 2 추석연휴(9/9~9/12) 10 31 20 9 2 개천절(3) 대체공휴일(10) 11 30 22 8 0 특성화 공개수업(30) 12 31 22 8 1 방과후 과정 튼튼이대회(20) 성탄절(25) 방과후 자율운영기간 (12/26~12/30) 1 31 20 8 3 신정(1) 설날연휴(1.24.~1.24.) 2 28 20 8 0 수료·졸업식(15) 방과후 자율운영기간 (2.16.~2.28.) 소계 181 124 49 8 총계 365 250 101 14